지역난방 세대내 싱크대, 화장실 수전 모두 온수가 안 나올 때 점검 방법, 감압변 교체 방법입니다.

아파트 어느 세대내 온수가 안나온다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상황 설명을 들어보니 주방 싱크대 수전과 화장실 수전, 베란다 세탁실 수전 모두 온수가 안나오는데 외부 감압변이 의심됩니다.

감압변은 세대로 유입되는 수도의 압력을 조절해 주는 장치로 가정용은 통상 3kgf/mm²에 맞추어 세팅되어 나옵니다. 감압변에 이물질이 끼어서 수도 배관을 막은 것이지요. 사진의 감압변 부품은 스트레이너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데, 스트레이너가 막히거나 감압변 내에 이물질 등이 있을 경우에는 청소나 교체를 해야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감압변 교체를 해보겠습니다. 먼저 복도 피트나 수도함의 수전을 잠급니다. 감압변은 보통 15A 규격으로 주먹몽키 등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주는데 잔여물이 흐르므로 하단에 통이나 그릇을 받쳐준 다음 양쪽 유니온 너트를 풀어주면 분리가 됩니다.

새로운 감압변 유이온 너트에 테프론을 감아주는데 13번 정도 감아주세요. 귀찮다고 7~8번만 감는 사람들이 있는데 나중에 꼭 누수가 됩니다. 테프론은 나사산의 감는 방향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감아준 다음 감은 후 손으로 테프론을 손으로 움켜쥐고 나사 감듯이 한 바퀴 돌려주면 나사산에 자리가 잡힙니다.

감압변의 화살표는 물이 투입되는 방향으로 1차측인 저수조에서 세대로 투입되는 방향을 뜻합니다. 헷갈리지 마시고 방향을 잘 보시면서 설치하셔요.


분해의 역순으로 감압변 유니온 너트를 시계방향으로 주먹몽키나 첼라 등으로 조여주시면 감압변 설치가 끝이 납니다. 설치 후 1차측 수전을 열어준 다음 누수가 있는지 마른 손으로 3회 정도 만져주고 누수가 없으면 보온재와 보온 테이프를 감아서 마무리해줍니다.

주의하실 점은 유니온 너트를 조일 때  안쪽의 고무패킹이 너무 압착되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당한 강도로 더 이상 안돌아갈 때까지만 조여주세요. 어렵지 않으니 천천히 글 보시면서 따라 하시면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고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쓰기

0 댓글